하울의 움직이는 성 (Howl's Moving Castle, 2004)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12. 26. 11:00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하 <센>) 이후로 다시 찾아온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역시 기대한 만큼 재밌게 봤다.
사람들은 <센>에서 어떤 장면에서 감독이 의미하는 바는 환경오염이 어쩌고 저쩌고 이러는데, <하울>에서도 마찬가지일듯이 보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아니 보일 것이겠지 사람들은 이것저것 찾아내기를 좋아할테니.....-_- 개인적으로 다 쓸데 없는 짓이고, 그냥 즐겨주면 되는 것이다. 카테고리 - 즐겨라 문화 - 영화 이다!!

꼭 보고 싶었던 애니메이션이라서 메가박스, CGV 홈페이지를 동시에 띄워두고 25일날표를 리프레시 해가면서 -_-;; 리프레시 신공으로 예매해버렸다.

<공각기동대 - 이노센스> 를 봤을 때 쓰였던 기법들이 <하울>에서도 쓰인 듯한 부분들이 있는 것을 보고(주관적인 판단이다), 애니메이션도 발전하는걸 느낀다.
<하울>자체에 배경 (위 사진같은)도 좋았고, OST도 상당히 좋았다.
개성넘치는 캐릭터들..
흰, 허수아비, 캘시퍼, 하울, 소피, 황야의 마녀 등등....
왜 흰부터 생각이 나는지 >_ <)/ 흰 너무 귀여워 ;;ㅁ;;
캘시퍼도 맘에 들었어!!! 반항하면서 해줄꺼 다 해주는 모습에 ㅎㅎ

하울이 미소년이라는건 인정하겠는데......... 애니 상에서 나온 대사
"이쁘지 않으면 죽어야해" 에서 -_-;;;;; 쌩뚱~맞아버렸;

이것저것 말하고 싶어서 입이 근질근질거리지만 말하지 않겠어! - 스포일러는 나빠요


어쨋든 재밌다!!!! 추천한다!!! ㅎㅎㅎㅎ

설정

트랙백

댓글

인크레더블 (The Incredibles, 2004)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12. 26. 10:00


in megabox (coex)


정말 즐겁게 웃으면서 봤던 애니메이션
주위 사람들이 다들 극찬한 애니메이션이라 기대하고 봤는데 역시!!! Good!

영화관에따라 관객의 행동들이 다른 것 같다. 이 영화를 본 곳은 동네의 극장.
영화 상영 도중에 핸드폰이 울리는건 기본, 특정 화면에 대하여 큰소리로 떠든다.
애들 영화라서 아이들이 많음으로서 생기는 소리도 장난아니다 -_-
메가박스CGV같은 곳에서는 이런 일을 하면 미안해하는게 정상이지만, 이 곳에서는 전혀 미안한 느낌을 찾을 수가 없다. -_-

개인적으로 프로존의 얼음을 뿌려가며 스케이트 타는 장면이 인상 깊었다. ㅋㅋㅋ 멋져요 프로존~
엘라스티 걸은 고무고무 열매를 먹었나?
대쉬는 진짜 정말 열라 빨라서 긴박감을 계속 주었다. - 저렇게 빨리 달리면 시력도 엄청 좋아야 다 피하고 그럴텐데 -_-;;
바이올렛은 얼굴 가린거보다 얼굴 보이는게 더 좋다! 가리니깐 귀신 같아
잭잭은 영화에서 봐봐 -_-)b
인크레더블의 뱃살은 남말같지 않아 ㅜ0ㅜ 운동은 과격했어 저래야지 살 빠지는거야? 그런거야? ㅜ0ㅜ

영웅과 일반인이 함께 살아간다는 설정에 배트맨이나 슈퍼맨이 생각나버렸어... 확실히 이런 영화는 미국쪽에서는 대박 히트칠꺼 같단 말이지 :) 물론 재미도 있었고 말야

1. 미스터 인크레더블
- 주특기 : 힘
- 특기사항 : 민첩성, 내구성, 점프력

2. 미세스 인크레더블
- 주특기 : 탄력성
- 특기사항 : 민첩성, 내구성, 점프력

3. 바이올렛
- 주특기 : 투명인간 & 방어막
- 특기사항 : 민첩성, 내구성

4. 대쉬
- 주특기 : 속도
- 특기사항 : 뛰어난 반사 작용, 내구성, 점프력

5. 프로즌
- 주특기 : 수퍼 쿨
- 특기사항 : 민첩성과 스케이팅 곡예

6. E(edna mode)
- 주특기 : 수퍼 히어로 패션 디자이너
- 특기사항 : 강직한 태도(super attitude), 탁월한 미각

7. 신드롬
- 주특기 : 수퍼 악당
- 특기사항 : 엄청난 재산가, 양심불량, 신무기기술

- Nkino.com 에서 발췌~


ps. 사진은 메가박스인데 영화 본 곳은 구리씨네 ㅋㅋ
메가박스에 저렇게 장식해놓은게 보기 재밌더라궁 >_<)/

설정

트랙백

댓글

포가튼 & 오페라 유령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12. 11. 16:28


둘다 메가박스가서 본 영화 포가튼 보고 다음날 오페라 유령을 봤다.

포가튼(The Forgotten)


일단 나특한형 말대로 안전벨트가 필요하단 말이지 -_-;
정말 생각 안하고 있다가 뒤통수 맞는 기분 처럼, 갑자기 아무런 위험한 상황이 아닌데 놀라게 되는 그 부분!!
젠장할 -_-; 놀라기 전에 BGM이라도 깔아주면 좋자나! 그래야 긴장하고 놀랄 준비 하지 -_-
이건........ 처음 부터 전혀 그럴 장면 아닌거 같은데 놀라게 만들고;

아무튼 영화 그 줄거리 자체로는 흥미있는 주제였지만, 영화를 다 끝마치고 난 후에 생각은 흥미있는 주제를 더 잘 표현했었다면 좋았을껄...
이라고 생각해버렸다. (재미 없었다는 소리인게야 그런거야~)

여튼 감독판도 있다고 하는데 벌써 주위사람들에게 결말을 들었으니 안봐도 뻔하다...

미국 쪽의 문화는 한국과 다르다는 점이 포가튼 같은 경우 박스 오피스 1위에 있었다는 점이란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니아급이나 좋아할 만한 영화 밖에는 안된다고!


오페라 유령(The Phantom Of The Opera, 2004)


그래... 전에 뮤지컬로 할 때 못 본 작품이라 통곡하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지. 책은 안 읽어봤지만 스토리는 다 알고 있던 내용이었지 (주워 들은게 너무 많았나??)

일단 영화로 봤는데 물랑루즈시카고 같은 뮤지컬 영화였어.

거기다가 자리도 상영관에서 중앙에서 보느라 소리도 좋게 들린것 같아. :)
약 2시간 30분 동안 좀 지루한 감이 있긴 했어. 그건 영화를 보면 알꺼 같아.
역시 귀에 익숙한 음악 - OST가 분명 있지 - 이 나오니 좋았어.
음악에 대하여 좀 할 말이 있지만 괜히 보는 사람들이 재미를 떨어뜨릴 수도 있으니 아무 말 하지 않을께 (이게 더 궁금하게 만드는 것인가?? -_-;; )

해당 스냅샷 처럼 가면무도회 에서의 장면은 정말로 멋있어!

개인적으로 커플인 사람들은 영화를 재밌게 볼 수 있을꺼 같다는 느낌이야.

나는 재밌게 봤어!

P의 놀람에 따라 S도 같이 놀라고(연쇄반응), 거기다가 S의 키가 작아지는 자세(..) 를 봤고, 왼쪽 S의 (자신은 아니라고 하지만 내가 보기에) 멍~ 한 표정을 보고;

크크큭;; (그...그런데 위의 글 생각해보니 진정 누나 넷 이다 -_-);;

좌석순이면...SSSPCT 인가?

설정

트랙백

댓글

화양연화(花樣年華) 그리고 2046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10. 9. 16:00


화양연화 (花樣年華: In The Mood For Love, 2000)


2046 (2001)




<2046>본 후에 <화양연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화양연화>에서 묶었던 호텔의 호수가 <2046>이라지요?

여튼 두 영화의 분위기는 달랐습니다. 참 많이 말이죠
뭐 그거야 둘다 보시면 아실 듯 싶고

# <화양연화>
양조위와 장만옥 - 초우와 수리첸

# <2046>
양조위와 장쯔이 - 초우와 바이 링
양조위와 왕정문 - 초우와 왕진웬
양조위와 공리 - 초우와 수리첸

# <공통>
음악
비오는날에 가로등 불빛
수리첸
골드 핀치 레스토랑
60년대 홍콩
<2046>
사랑의 아픔
남자 와 여자
화려한 여자의 의상
글쓰기

# 감상 포인트
- 안드로이드 wjw1967(왕비) 진짜로 진짜로 예쁘다!!!!!! >_<)// 짱짱!! -ㅁ-)bb
- 더허헉 ㅠ_ ㅠ 양조위 씨!! 이쁜 여자분들이 사랑해준다는데 왜 거절하구 그래요 ;; (털썩!)
- 기무라 타쿠야 열라 잘생겼네 ㅡ.ㅡ 쳇~
- 영화속에 유머가 담겨있다! ㅋㅋㅋ 무협소설의 비밀 ㅋㅋㅋ


영화 이야기는 안하고, 순 딴소리만 하고 갑니다
보세요! 보세요! -ㅁ-;;
사실은 <공통>이 감상 포인트에요

+
청승 부리지 말아요!!!

+
<2046>은 시사회로 봤습니다. 왕가위 + 양조위 봤;;;
<화양연화>는 root of dark 에서 봤;;
역시나 또 형에게 고마울 따름 (밥 사준걸로 은근히(?) 땡치기 -ㅁ-;; )

설정

트랙백

댓글

연인 (戀人)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9. 12. 15:53



연인을 보았습니다. 눈과 귀가 즐거운(?) 영화였습니다.
장면장면 참 색들이 많이 쓰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영웅을 봤을때와는 달리 색감이 많이 나타나더군요.

스틸컷들이 어떻게 보면 스포일러가 될성 싶으나...
제 눈에는 너무 이쁜 장면들이라서....;;;; 아하하하하하;;;
저와 같이 본 친구는 금성무만(..) 바라보고;;;

이 영화속에서 비춰지는 색들로 즐겁고, 가 영화속에서 들려주는 음악으로 즐겁습니다.

메가박스에서 봤는데, 더군다나 인터넷 예매를 해서인지.. 자리가 대박 좋았습니다. -_-)b
진짜 거짓말 안보태고, 정중앙, 정 가운대 였거든요 ^^;; 고개를 바로 하고 보면, 화면이 다 보이는 위치였습니다.

말도 안되는 설정들이 난무 하였지만, 그냥 그렇게 즐겁게 눈과 귀를 영화에 맡겼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딱 중간까지만 다시 봤으면 좋겠습니다. :)
어쩌나?? 스포일러일까??


초반 부분에 장쯔이가 나타내는 음향,색상은 정말 멋있었습니다.

중반 이후로 펼쳐지는 로맨스는 예고편의 위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보여주더군요 :)
기억하세요! 3년을 기다린 사랑~ 3일만에 찾아온 사랑!~

설정

트랙백

댓글

엘리펀트 + 터미널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9. 6. 18:01


간만에 영화 내용 포스팅 ^-^;

엘리펀트(Elephant)
See The Elephant : 현실을 보라. 아메리카 속어.

이 영화는 현실을 보여준 영화.

사실 지루하고 재미 없었지만, 마지막 16분에 상당히 마음으로 버닝 -_-;;;
총도 인터넷으로 그냥 살 수 있는 나라라....;;; 완젼 서바이벌 게임의 한 장면을 보는 듯 하였음. (물론 서바이벌이 아니라 무참한 학살 이었지만 -_-;)




이쁘니 캐서린 제타존스를 보는 즐거움과, 대단한 연기를 보여준 톰 행크스 그리고 영화를 만든 스티븐 스필버그

재미있다는 소식에 보러 가려고 했는데 시간이 여의치 않았지만, 어쨋든 동네 영화관에서 보게 되었다지요.
상당히 감동적이었고, 잊을 수가 없는 굽타 할아버지의 레스토랑에서의 쇼. ㅋㅋㅋㅋ 대략 엄청 웃었다는;;;

아무 생각없이 고른 이미지가 나특한 형 블로그의 이미지랑 같았다.
역시 이 사진이 제일 이쁘게 나온겨@@;;

설정

트랙백

댓글

쓰리, 몬스터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8. 21. 13:06



박찬욱 감독 >>
처음 부터 나오는 염정아의 연기 그리고 그 소리!!

그리고 영화는 잔인함을 향해 달립니다.
하지만 위트와 사투리로 인해 그 잔인함이 덜 하는것 같이 느껴버렸습니다.
또한 배경이 참 멋지더군요. 그 집 말이죠 :)

태그라인이 내 안의 악마라는 것을 감안할 때 참 첫번째 박찬욱 감독의 영화는 참 좋았습니다.
만약 그런 상황에 저라면 제 자신의 악마는 어떻게 나타날지 참으로 기대가 되기도 했습니다 :)

덧 : 강혜정씨를 강혜정이라고 보기가 힘들정도로 얼굴이 엉망이네요 -_-;;


미이케 다카시 >>
저 이 것에서 무지 많이 놀랐습니다. --;;
왜 저도 그렇게 놀란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많이 안놀라는 성격이거든요 -_-;

어쨋든 간에 사실 대단히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을 다 보고 나니 조금씩 이해가 되더라구요.
그리고.........................................
윽 -_-;;; 어째 일본 공포 영화는 소름 돋치게 하는데 더 심한거 같아요 -_-a


프루트 챈 >>
아악... 소재가 진부하다고 표현한 나특한 형의 블로그에서 본 것 처럼 진부합니다. [만]!!!!!
윽.... 영화 보면서 눈 감는 편은 아니지만 소리가 소리가....젠장 --; 좀 짜증났던 영화였습니다. 역시 다시는 보고 싶지 않습니다. 아아 여자들의 욕심이란... -_-a

덧 : 메이의 (영화상의) 진짜 나이는 얼마 인가요? 가슴이 장난이 아니던데 --;;

보고 나오면서 사람들이 왜 이걸 돈 주고 봤는지 모르겠다면서 매우 싫어하던 모습이 떠오르는군요
사실 저는 왠지 재밌게 봤습니다. 3번째꺼 빼고 -_-;;

영화가 잔인하고, 불쾌합니다. 정신건강을 해칠 수 있으니 유념하시구요. 담배 문구에 붙이는 것을 쓰리, 몬스터에도 붙여야 하겠습니다. 정말로요 -_-a..

형 말대로 임산부는 절대 보지 않기를 권합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아이, 로봇 I, Robot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8. 10. 10:21


아이로봇


진부한 스토리 허나 꽤나 재밌었음;;;

차는 멋있더만요 -_-)b
아참 윌스미스의 몸매도 멋있었고, (허벅지가 대체 왜 그리 굵은게야; 그리고 샤워신은 왜 보여주는것인지;;; 쳇!! )
같이 본 친구는 [써니 - NS5]가 귀엽다고 어쩔 줄을 몰라함 -_-;;
(로봇이 귀엽다라....... 흠칫!!)

그런데 영화 안에서 나오는 2004년형 컨버스 올스타 -_-);; 쌔끈;;
허나 개인적으로 컨버스를 신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

무수히 많은 감상평들이 있으니 잘 보시고!!

사람들이 끝이 허무해요!라고 말했는데, 그래도 재밌어요! 라고 하는 말이 사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 위의 말과 같았;;

설정

트랙백

댓글

SICAF 2004 (3) - Production IG - Innocence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8. 9. 12:04


이노센스 / Innocence , Ghost In The Shell, 2004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눌러보세요

무료한 일요일.. 사실 오늘 이노센스 보러 가는 일을 잊을 뻔 했다.
집안에서 딩가 딩가 놀고 있다가 생각해보니 나갈일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6시에 이노센스가 있다는 것을 알고 부랴부랴 삼성동으로 GoGo~

메가박스에 도착해서 이노센스를 보려고 찾은 관객들은 매진이 된게 거짓이 아닌 것처럼 사람들이 꽉 찼다.
어제 본 Production IG 특별전에서는 사람들이 앞에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참 많이 비교 당하는걸 느꼈다 ^^;;
그만큼 이노센스에 기대가 크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덧글 : 자세한 내막 이야기는 위의 링크를 따라가세요

영화관에 불이 꺼지고, 감상의 시간이 시작되었다.

처음 부터 펼쳐지는 도시의 전경 그리고 낯익은 얼굴 - 버트 - 이 보였다.
그리고 표정 없는 한 여자 인형이 보였고, 무참하게 사격(..);;

그리고 이노센스의 타이틀이 화면에 가득찬다..

그 후 한참 영화에 빠져들고 있을 때쯔음 문자가 하나 왔다.;;
쩝... 씹었다 -_ -)/

그리고 다시 몰입!! 쿠사나기 소령에 대한 모습과 생각들이 내 머리속에 전에 본 공각기동대 영상을 다시 머리속에서 리플레이 시키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화면! 뭔가 실마리가 풀리고 나타나는 로쿠스 솔루션(? 정식 이름은 모르겠다;; )
그에 따른 비쥬얼............................
정말 최고다...... 라고 밖에는........ 말할 수가 없다

갈매기가 날라가는 것 그리고 벚꽃(?) 이 흩날리는 것 모두 영상미가 대단했었다. (적어도 그리는것에 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내눈에 말이다 :-D)

놀랐고도 놀란다. 그리고 BGM이 익숙한 소리인거 같다. 어디서 분명히 들었다. 공각기동대에서? 아니면 다른 곳에서?? 어쨋든 들어봤던 BGM이었다.

계속 화면은 지나가고 다시 찾아온 쿠사나기 소령은 한 인형에 스며든다.
이 때 스며들때까지의 장면이 참 내 눈에는 참 재밌었다.

하나의 의식을 바이러스로 생각하여 항체를 내보내도 안 잡히고, 유유히 메인 시스템에 접속하고, 그에 따른 효과도 내고 하하~!
난 아무래도 어쩔 수 없나보다;;;

그렇게 그렇게 시간은 흐르는 것 같지 않게 흘러 버리고, 이노센스는 끝났다.

영화관에서 불이 켜지면서 느껴지는건

-_-)b



오시이 마모루 -_-)/ 당신 힘 좀 썻네.... 덕분에 즐기게 해줘서 고맙다네 :-D


............... 그런데 같이 저녁 못해서 참 미안해 형 -_ -)/

설정

트랙백

댓글

SICAF 2004 (2) - Production IG - Otogi Zoushi

문화생활/영화, 애니 2004. 8. 8. 14:04


오토기조시 / Otogi Zoushi


오토기조시 공식 홈페이지



사실은 Dead Leaves 보고, 나갈려고 준비하던차에 또 나오길래;; 어라 두편해주는걸 모르고 ^_^;;;;;;;;

아무튼 전의 Dead Leaves랑은 다른 느낌의 애니더군요. 일단 시대 상황도 달랐고, 무엇보다 세심한것 같은 그림이랄까요? ;; 그러나 일요일날 본 이노센스의 휴유증으로;; 아무튼 제가 좋아하는 애니 스타일과는 달라서 그런지, 뭔가!! 뭔가!! 빠진거 같아요;;; (제 주관적인 느낌이라죠)
1편만 봐서 그런것 인것 같기도 하지만;; 그래도 뭔가 빠진거 같아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나중에 root of dark 에서 TV판을 구해서 본다면 혹시 달라질지 모르겠군요 :D




애니메이션 お伽草子(오토기조시) Ending Song
2004.04.28 일 발매된 카와베 치에코 싱글앨범 "be your girl " 커플링곡
엔딩송 출처 : 니야옹님 블로그
덧 : 노래 좋아요!

설정

트랙백

댓글